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복습노트

(3)
다운, 업 캐스팅 Casting이란? 캐스팅이란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형변환이라고도 한다. 자바의 상속관계에 있는 부모와 자식 클래스간에는 서로 간의 형변환이 가능하다. 업캐스팅(Upcasting) 업캐스팅이란 자식 클래스의 객체가 부모 클래스 타입으로 형변환 되는 것을 말한다. 부모 클래스는 Person, 자식 클래스는 Student이다. 아래 코드에서 Person p = s; 부분이 업캐스팅 된 부분이다. p가 Student 객체를 가르키지만, p는 Person 타입이기 때문에 Person 클래스의 멤버에만 접근이 가능하다. 그렇기에 p.check에서 컴파일 타임 에러가 발생한다. class Person{ String name; Person(String name){ this.name = name; } } cla..
instanceOf 연산자 instanceOf 연산자 instanceOf는 객체타입을 확인하는데에 사용한다. 해당 여부를 true, false로 가르쳐준다. 한마디로 부모 객체인지 자식 객체인지 확인하는데 쓴다고 생각하면 된다. instanceOf 사용법 사용형식은 '객체 + instanceOf + 클래스' 이다. A를 부모, B를 자식 클래스로 세팅하고 두 클래스 간 형변환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았다. 세 번째 결과가 false인 이유는 부모가 있어야 자식이 있는데, 세 번째는 부모가 자식이 되려 했기 때문 반면, 이 결과는 false를 리턴한다. ArrayList는 Set도 아니고, Set을 상속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Object에 대한 instanceOf 모든 클래스는 Object를 상속하기 때문에 object instanceO..
for each문 for each문 사용법 우선 for문이랑 비교 먼저 해보자. for each문은 사용에 따라 코딩양을 줄일 수 있고 직관적으로 작성 되어 가독성이 높아지게 된다. [for문 사용 연습] name배열의 각 요소 값을 순차적으로 Nm에 전달한다. name은 iterator 즉 배열이나 컨테이너등 여러 데이터가 담겨져 있는 변수다. [수행 결과] name의 배열 길이 값은 4이다. 그리하여 for each문은 총 4회 수행되며 수행 될 때 배열 값 첫 번째 값인 철수를 Nm에 전달한다. 배열의 값 하나하나씩을 전달하여 철수, 영희.민수, 희동 순으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배열 외에도 vector, List에도 활용 가능하다.

반응형